2017년 12월 6일 수요일

아두이노 가변저항(potentiometer)



가변저항은 이름처럼 정해진 저항 값 내에서 저항 값을 바꿀 수 있는 저항을 말한다. 
주로 세 개의 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 양쪽 핀은 각각 5V(전원의 +부분), 0V(전원의 -부분)이고
중간 핀은 저항 값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출력한다.
오늘은 이 가변저항으로 LED의 밝기를 조절해보려고 합니다.

가변저항으로 LED를 제어하기에 앞서 
일단 가변저항의 값을 시리얼모니터를 통해서 확인해본다. 

가변저항의 전압 값을 읽기 위해 아날로그 입력 핀(A0)을 사용한다.
이때 아날로그 입력 핀은 0-5V의 값을 0-1023으로 나타내준다. 

일단 정말로 아날로그 입력 핀의 값이 가변저항에 의해 변화하는 0-5V의 값을 0-1023으로 바꿔주는지 
시리얼모니터를 통해서 확인해보자. 


int pot = A0; // 아날로그 핀 설정 
void setup() 
{
  Serial.begin(9600); //시리얼 통신을 시작한다.(기본 통신속도 9600)
}
void loop() 
{
  int val = analogRead(pot);//아날로그 입력값(A0)를 읽기 위해 analogRead 를 사용하고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/읽어들인 값을 변수 val에 전달한다. 

  Serial.println(val); // 값을 시리얼 모니터에 출력해준다. 
  delay(800);
}




가변저항을 한 쪽으로 완전히 돌리면 값이 0V나 5V이며,
그러면 아날로그 입력 핀으로 읽어지는 값은 0 아니면 1023 일 것이다.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4vVjG8OK1fU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

아두이노와 프로세싱 연동: 가변저항으로 프로세싱 색상제어

아두이노와 프로세싱을 연동하는 프로젝트로서, 아두이노의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프로세싱의 rect의 색상을 조절해봅니다. 과정은 간단합니다.  1. 아두이노보드에 가변저항을 연결합니다. 가변저항의 세 단자에 GND, 5V, 그리고 A0(아날로...